안녕하세요 오늘은 성실신고 확인제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1.성실신고 확인제란 무엇일까요?
-성실신고 확인대상인 소규모 법인 또는 법인전환사업자는 성실한 납세를 위하여 법인세 신고 시 비치·기록된 장부와 증명서류에 의하여 계산한 과세표준 금액의 적정성을 세무대리인이 확인하고 작성한 성실신고확인서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성실신고 확인대상
-(소규모 법인) 다음의 소규모 법인 요건에 모두 해당하는 법인
성실신고확인대상 - 구분, 내용 포함
구분
|
내용
|
ⅰ
|
부동산임대업을 주된 사업으로 하거나 이자·배당·부동산(권리)임대소득금액 합계액이 매출액의 50% 이상인 법인
|
ⅱ
|
해당 사업연도의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미만
|
ⅲ
|
지배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합계가 전체의 50% 초과
|
(법인전환) 성실신고확인대상인 개인사업자가 법인 전환 후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3년 이내의 법인 (’18.2.13.이후 법인 전환 분부터 적용)
3.성실신고 확인에 대한 지원
-법인세 신고·납부기한 연장
-성실신고확인대상 내국법인이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 법인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을 각 사업연도의 종료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4개월 이내에 납세자 관할 세무서장에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성실신고 확인비용 세액공제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는 경우 성실신고확인에 직접 사용한 비용의 100분의 60(150만원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을 해당 과세연도의 법인세에서 공제합니다.
-단, 해당 과세연도의 과세표준을 과소 신고한 경우로서 그 과소 신고한 과세표준(수정신고로 인한 경우 포함)이 경정된 과세표준이 100분의 10이상인 경우 공제받은 금액에 상당하는 세액을 전액 추징하게 됩니다.
4.성실신고확인의무 위반시
-성실신고확인서 미제출 가산세 부과
-성실신고 확인대상인 내국법인이 「성실신고확인서」를 신고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은 경우 법인세 산출세액(토지 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액 및 투자·상생협력촉진을 위한 과세특례를 적용하여 계산한 법인세액은 제외)의 5%와 수입금액의 0.02% 중 큰 금액이 가산세로 부과됩니다.
-미제출 법인에 대한 세무검증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등의 납세협력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세무조사 대상 등으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성실신고확인자(세무대리인)에 대한 제재
-추후 세무조사 등을 통해 성실신고확인 세무대리인이 확인을 제대로 하지 못한 사실이 밝혀지는 경우 성실신고확인 세무대리인에게 징계등의 제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회계&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급여 바우처 대상 및 신청방법 (0) | 2024.07.10 |
---|---|
재무보고전용 국제표준 전산언어(XBRL) (0) | 2024.07.03 |
퇴직급여충당부채, 퇴직연금운용자산 (0) | 2024.07.02 |
퇴직연금제도(DB, DC형) 관련 회계와 세무 (0) | 2024.07.02 |
서울시 다자녀(두자녀이상) 혜택/ 생각보다 쏠쏠한 다둥이행복카드 앱카드(서울지갑앱) 간단하게 발급 받으세요. (0)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