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폴리어학원 영유2년차 7세 둘째 sr test 점수비교

긍정파워맘 2024. 6. 27. 22: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진짜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아요. 저는 워킹맘은 아니지만 집에 있어도 왜이렇게 할 일이 많은지..오늘에서야 글을 쓰게 되네요. 다음주에 처음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싱가폴로 해외여행을 떠나게 되었어요. 예전에 싱가폴을 남편과 둘이 가본 적이 있었는데 너무 좋았던 기억에 이번에는 아이들과 함께 가려고 계획했습니다. 여행 준비도 이것저것 생각보다 신경쓸게 많아 정신이 없지만 그래도 아이둘과 첫 해외여행이라 기대도 되고 설레이네요. 혹시나 싱가폴 다녀와보신 분들 꿀팁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꾸벅꾸벅^^ 그리고 다녀와서 싱가폴 여행 후기도 남겨볼까합니다. 히힛^^

4월말에 저희 둘째가 7세 두번째 sr test 결과를 받아왔어요. 매일 스스로 영어책 읽기를 습관화 하고 있고 그러면서 sr 점수가 차츰 오르고 있는게 보이네요. 첫째때는 이게 뭐라고 왜그리 조급해 했는지...

둘찌는 ar1.0-1.4를 한달동안 읽었습니다. ar 점수가 높은 책을 읽는다고 꼭 sr 점수가 높아지는 건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이번 IRL이 GE와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보니 뿌듯하네요^^

지금처럼 영어책을 재미있게 읽으면 점수는 알아서 따라 오를꺼라고 믿어봅니다.!!

차츰차츰 성장해가는 우리 아이들 조급하지 않게 우리 지켜봐줍시다^^

둘찌 3월 점수

 

둘찌 이번 4월 점수

SR(star reading) test란 무엇일까요?

-Star reading은 computer Adaptive Test(CAT) 방식으로 개인별 리딩 수준에 따라 5천 개 이상의 다른 진단테스트를 경험하게 된다고 합니다. 통상 다른 공인 영어 리딩 시험시간이 40분 이상인데 비해 SR은 20분 만에 객관적이고

매우 정확한 리딩 지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30년 이상의 기간 동안 미국 6만 개의 학교, 수천만 학생의 표준 학령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갖춰진 결과라고 합니다.(5000개 이상의 문제은행, 34개 학생 수준에 조절되는 문제)

SR(star reading)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일까요?

-학생의 읽기 실력을 나타내는 리딩레벨(GE지수)을 통해서 자신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의 책을 직접 고르거나 쉽게 추천해 줄 수 있습니다.

-SR test를 보게 되면 레벨진단과 성장수치 등을 보여주는 20종의 리포트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저희 아이가 이번에 SR test를 봐서 받아온 리포트입니다.​​

1.SS(Scared Score): 원점수

-정답률과 문제의 난이도에 근거한 원점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어려운 문제를 많이 맞힐수록 높다고 해요.

2.PR(Percentile Rank): 백분율

-저희 아이의 리포트를 보시면 PR이 90으로 나와있네요. PR의 경우에는, 그 해 같은 학년 학생들의 90%보다 리딩실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같은 학년에서 상위 10 % 든다는 것과 같은 뜻이기도 합니다.

3.GE(Grade Equivalent)

-영어리딩 레벨로 미국 현지 학생들과 비교한 수치입니다. GE는 미국 학년 기준으로 학년 개월차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일반적인 리딩능력 수준을 의미합니다.

-저희 둘째 이번에 GE 2.2를 받았네요. 그렇다면 이 수치상으로는 미국학생 2학년 2개월 아이들과 리딩실력이 비슷한 수준이라는 뜻이에요.

4.IRL(Instructional Reading Level): 적정 읽기 학습 지도지수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학년 수준을 나타내는 수치로, IRL이 1.0이면, 1학년 0개월차로 접어든 학생들이 평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글이 주어질 때, 효과적으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유에서는 GE점수도 중요하지만 이 수치를 중요시 봅니다. IRL수치가 GE와 차이가 없을수록 몰라서 찍지 않고 정말 이해하고 문제를 풀었다는 걸 의미합니다.

-저희 아들 3월에 비해 IRL이 1.6인걸 보니 GE랑 차이가 좁혀지고 있는게 보이네요. 앞으로 다독하며 IRL점수를 GE랑 더 좁혀보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